전문위원 김정연입니다.
문화체육실 소관 2021회계연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과 기금운용 결산 승인의 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2021회계연도 일반회계 결산에 대한 주요내용은 검토보고서 1쪽부터 9쪽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검토보고서 10쪽 세입결산 부분입니다.
2021회계연도 문화체육실 소관 일반회계 세입예산 현액은 광주광역시 전체 일반회계 세입예산 현액 7조 9813억 2219만 원 대비 1.6%인 1291억 360만 원으로, 1444억 4803만 원을 징수결정하여 99.9%인 1443억 2832만 원을 수납하고 미수납액은 1억 1971만 원입니다.
수납액 세부내역은 세외수입 170억 4793만 원, 보조금 852억 2215만 원, 지방채 410억 원,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 10억 588만 원이며 미수납액 중 500만 원 이상 미납액은 1억 1628만 원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문화도시정책관 예술의거리 상징조형물 조성 집행잔액 2890만 원이 자체보조금 반환수입과 국고보조금 사용잔액에 이중 계상되어 2022년 7월 국고보조금 사용잔액 2890만 원을 전액 감액하였고, 시립미술관 1층 카페 임대료 체납액 2217만 3천 원이 2022년 5월 세정과로 체납 이관되었으며, 2021년 시 종합감사 지적사항인 체육진흥과 옥동 2근린공원 축구장 이설공사 환경보전비 반납분 789만 8천 원 중 휀스 공사비 312만 2천 원을 제외한 477만 6천 원을 2022년 4월 납입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코로나19로 인한 공연 취소로 문화예술회관 공연장 사용예약금 21만 원을 전액 감액하였고, 납기미도래 공연장 사용료 및 공공요금 540만 8천 원은 납기도래 전인 2022년 1월 전액 납입 완료하였습니다.
문화예술회관 그외 수입 미수납액 5169만 4천 원은 2012년 8월부터 2016년 11월까지의 시립극단 공연보상금 횡령사건 관련 2021년 5월 광주지방법원 화해권고 확정금액 9043만 원 중 기납부금액 3875만 6천 원을 제외한 잔액 등으로 2022년 5월 전액 납입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검토보고서 13쪽 세출결산 부분입니다.
2021회계연도 문화체육실 소관 일반회계 세출예산 현액은 광주광역시 전체 일반회계 세출예산 현액 7조 9941억 7226만 원 대비 6.1%인 4872억 7229만 원으로, 세출예산 현액 대비 76.3%인 3718억 7099만 원을 지출하였고, 다음연도 이월액은 1009억 8130만 원, 보조금반납금은 6억 1146만 원, 집행잔액은 138억 853만 원입니다.
문화체육실 일반회계 집행률은 76.3%로 광주광역시 전체 일반회계 집행률 91.8%보다 낮으며, 이월 비율 또한 20.7%로 광주광역시 전체 이월 비율인 6.3%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이월 사유가 공사 지연 및 코로나19로 인한 행사취소 등이나 이월 비율이 시 전체 비율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사업추진에 대한 예측이 다소 미흡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향후 집행부에서는 계획 수립 시부터 면밀한 검토를 통해 집행률을 높이고, 사업추진 상황 등을 수시로 점검하여 이월액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검토보고서 15쪽입니다.
2021회계연도 문화체육실 집행잔액은 총 138억 853만 원이며, 이 중 3천만 원 이상 집행잔액 발생사업은 총 42건, 125억 7584만 원으로 전체 집행잔액의 91%를 차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검토보고서 15쪽부터 17쪽 표1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실 소관 예산 중 전액 불용사업은 총 22건, 6억 3376만 원으로 불용사업 현황과 불용 사유는 검토보고서 18쪽부터 19쪽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검토보고서 20쪽, 예산의 전용·이체 부분입니다.
예산전용은 「지방재정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각 정책사업 내의 예산액 범위에서 단위사업 또는 목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2021년 문화체육실 소관 전용은 총 4건, 2억 2260만 원입니다.
세부적으로는 코로나19로 개최가 무산된 코리아마스터즈 배드민턴대회 1억 원과 국제남자챌린저 테니스대회 1억 원 등 2건 2억 원을 2025년 세계양궁대회 유치신청을 위한 사무관리비 4500만 원과 세계양궁연맹 현지실사 준비를 위한 행사운영비 1억 5500만 원으로 전용하고, 시립미술관 현대미술기획전 미디어아트 전시를 위한 기자재 구입을 위하여 사무관리비 2260만 원을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전용한 것입니다.
2021년 문화체육실 소관 예산이체는 총 4건 514만 원으로 이는 2021년 1월 1일자 조직개편에 따른 것이며 예산의 전용 및 이체 내역은 검토보고서 3쪽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검토보고서 21쪽 다음연도 이월사업비 부분입니다.
먼저 2021년도 명시이월은 총 46건 416억 7765만 원으로 명시이월 사업의 총 예산집행 현황을 보면 예산현액 1387억 384만 원 대비 집행액은 오십이억, 526억 1422만 원으로 집행률이 37.9%에 지나지 않아, 향후 집행부에서는 사업계획 수립 시부터 사전절차 기간 및 집행시기를 고려하여 이월사업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다음 2021년도 사고이월은 총 54건으로 593억 365만 원으로, 문화도시정책관 미디어아트플랫폼 파사드 콘텐츠개발 시설비 10억 4370만 원 등 총 6건 16억 3318만 원, 문화기반조성과 광주대표도서관 건립 시설비 54억 1524만 원 등 총 24건 152억 5182만 원, 문화산업과 광주실감콘텐츠큐브 조성 시설비 및 감리비 88억 6851만 원, 체육진흥과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 시설비 11억 5493만 원 등 총 17건 232억 5099만 원, 시립미술관 아시아 예술정원 조성사업 시설비 2억 9876만 원 등 총 4건 4억 3175만 원, 문화예술회관 리모델링 시설비 98억 6741만 원 등입니다.
사고이월의 특성상 재차 이월이 될 수 없음을 감안할 때 사업추진 이전에 회계연도 내 사업 완료 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사업 기간 중 추진상황 등을 수시로 확인하여 당해연도 내에 지출을 끝내지 못할 것이 예측될 때에는 명시이월을 활용하는 등 사고이월은 불가피한 경우에만 최소화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명시이월 및 사고이월 주요내용은 검토보고서 4쪽부터 10쪽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검토보고서 23쪽, 성과보고서 부분입니다.
문화체육실은 2021년 광주의 고유함과 독특함이 묻어나는 품격 있는 문화일류도시 광주 실현을 전략목표로 정하고, 15개의 성과목표와 39개의 성과지표를 구축·운영하여 성과달성 35건, 미달성 4건으로 성과달성도는 89.7%입니다.
미달성 사유를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행사취소와 관람객 감소 등에 의한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이긴 하나, 향후 성과달성도가 낮은 지표들에 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성과보고서가 예산에 대한 적정한 성과관리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지표 발굴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성과지표가 형식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과소 목표치 설정 등 투입이나 산출량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적합한 지표 설정과 효율적인 지표 측정방법을 발굴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검토보고서 24쪽, 성인지 결산 부분입니다.
성인지 결산은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예산의 혜택을 받고 예산이 성차별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집행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2021회계연도 문화체육실 성인지사업은 총 3개 사업이며 예산액은 81억 3526만 원, 지출액은 38억 9579만 원으로 집행률은 47.9%입니다.
성과목표 미달성 사업은 문화산업과 광주여성영화제 지원사업으로 코로나19가 지속됨에 따라 영화제 관람객 수가 감소한데 따른 것입니다.
끝으로 검토보고서 26쪽, 기금운용 결산에 관한 부분입니다.
먼저 체육진흥기금은 「국민체육진흥법」 및 「광주광역시 체육진흥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에 따라 지역 체육 진흥 및 발전과 체육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1995년 조성된 기금으로 2021회계연도 조성액은 95억 8933만 원이며, 수입액은 공공예금 이자수입 2599만 원, 기타수입 3억 원, 예치금 회수 21억 1829만 원, 예탁금 및 예수금 1억 4504만 원이고, 지출액은 예치금 15억 8933만 원과 예탁금 10억 원입니다.
다음 시립예술단체진흥기금은 「광주광역시립예술단 설치 조례」에 따라 예술단의 육성 발전과 공연의 활성화를 위하여 1988년 조성된 기금으로 2021회계연도 조성액은 14억 5893만 원이며, 수입액은 사업수입 3억 9850만 원, 이자수입 1232만 원, 예치금 회수 9억 4339만 원, 예탁금 및 예수금 1천만 원이고, 지출액은 일반보전금 4억 529만 원과 예치금 9억 5893만 원입니다.
두 기금 모두 기금 조성 목적에 맞게 운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에도 대상사업 선정 시 단편적이고 행사성 사업이 아닌 지속적 추진이 필요한 사업을 선정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효율적 관리·운용해야 할 것입니다.
결산 승인과정은 「지방자치법」 제150조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의회에서 승인한 한 해의 예산을 집행부가 적법하고 합리적으로 집행했는지의 여부를 점검하여 예산 낭비요인을 최소화하고, 다음연도 재정운영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결산검사가 매년 반복되는 형식적인 절차가 되지 않도록 집행부에서는 자료 작성단계부터 면밀히 검토하여 정확한 결산자료가 제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주시길 당부드리겠습니다.
이상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 문화체육실 소관 2021회계연도 세입세출 결산 승인의 건, 기금운용 결산 승인의 건 일괄 검토보고서
(전자회의록 첨부파일로 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