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는, 이거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도, 법인도 없다라는 말로 저는 해석이 되는데요.
예, 알겠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그 자료 준비되셨나요? 예, 띄워 주십시오.
(자료화면 보임)
이 자료는 제가 시교육청에 요청을 해서 심의자료를 받은 내용이고요, 요구자료 내용은 각 학교의 공사라든지 물품용역, 시설보수, 이러한 사업들을 진행한 사업조서들입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쭉 내려주세요.
먼저 설명을 하고 제가 질의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쭉 내려 주십시오.
자, 이 사업조서 같은 경우는요, 광주형 늘봄학교 구축이고요, 학교회계전출금으로 예산을 집행을 했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더 내려 주십시오.
사업에 대한 내용들이고요.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천천히 내려주세요.
이 사업은 교과교실제 구축 사업이고요, 마찬가지로 학교회계전출금으로 예산을 1개교…….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잠시만요, 위로 올려주세요.
1개교 예산 지원을 했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쭉 내려 주십시오.
이 사업은 특수학교 환경개선비고요,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쭉 내려주시면, 마찬가지로 공사를 학교회계전출금으로,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사진을 좀 봐주실까요, 잠깐. 이런 식으로 리모델링을 한 사업입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더 내려주세요. 이거는 넘어가 주시고요. 쭉 더 내려가 주세요.
학교 공간 재구성, 이 사업도 학교회계전출금으로 예산을 집행을 했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쭉 내려주십시오. 리스트를 다시 봐주세요. 이걸 다 일일이 설명할 수는 없으니까.
이렇게 해서 제가 받은 자료들입니다. 이 자료들을 제가 쭉 다 봤고요.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다음은 학교개선 및 학교시설사업 현황, 그 엑셀 표 펼쳐주시겠어요.
이 받은 자료를 토대로 제가 교육청 본예산서를 보고 리스트들을 제가 만들었어요. 그래서 이 사업들은 시설과로 재배정해서 사업을 했어야 된다고 저는 판단이 돼서 질의를 드렸고 거기에 실제로 5건은 시설과로 재배정을 했더라고요. 그래서 나머지 사업들은 사업 부서에서 집행을 한 상황이고요.
자, 그래서 질의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보시면 원가통계비목 코드라고 있습니다.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좀 확대를 해 주세요.
코드가 420으로 시작되는 거는 시설과로 배정돼서 사업을 진행한 거고요.
(전문위원실 직원을 향해) 좀 더 확대해 주세요.
620으로 시작되는 코드는 학교회계전출금으로 내린 예산입니다.
자, 이거 어떻게 결정되는 사안인가요?